728x90
반응형
TCP/IP 프로토콜은 1973년 빈트 서프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입니다.
현대 네트워크의 대부분의 패킷은 TCP/IP 프로토콜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OSI 7 과는 조금 다르게 더 간결한 구조입니다.
TCP/IP
OSI 7 layer 와는 다르게 TCP/IP 는 4계층 밖에 없습니다. (Physical 은 보통 Network Access에 포함합니다)
- Network Access
OSI 7계층의 Physical 과 Datalink 계층을 합친것에 해당합니다.
물리적인 주소로 MAC 을 이용해서 통신을 합니다.
흔히 아는 LAN 카드가 이에 해당됩니다. - Internet Layer
OSI 7계층의 Network 계층에 해당됩니다.
논리적인 주소로 IP를 이용해서 통신합니다.
노드간에 IP패킷을 전송하는 기능과 라우팅을 담당합니다.
주로 IPv4, IPv6, ARM, RARP 같은 프로토콜이 이용됩니다. - Transport Layer
OSI 7계층의 Transport 계층에 해당됩니다.
노드간에 연결을 제어하고, 신뢰성을 보장합니다.
포트를 통해 어떤 어플리케이션에게 정보를 전달할지 정합니다.
주로 TCP, UDP 같은 프로토콜이 이용됩니다. - Application Layer
OSI 7계층의 Session, Presentation, Application 에 해당됩니다.
TCP/UDP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이용됩니다.
주로 HTTP, FTP, SMTP 같은 프로토콜이 이용됩니다.
728x90
반응형
'컴퓨터공학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IPv6 패킷 구조와 특징 (0) | 2021.11.12 |
---|---|
[네트워크] IPv4 패킷 구조와 특징 (0) | 2021.11.11 |
[네트워크] OSI 7 layer (0) | 2021.11.09 |
[네트워크] Layered protocol Architecture 란 무엇인가? (0) | 2021.11.08 |
[네트워크] 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네트워크 기본개념 (0) | 2021.11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