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IPv6

IPv6 의 구조입니다.
- Version
IP 의 버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. IPv6 이므로 6 가 들어있습니다. - DS
IPv4 의 TOS 와 비슷합니다.
이 패킷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. 이 값에 따라 패킷이 먼저 전송되거나 나중에 전송됩니다.
이 값을 통해 QoS(Quality of Service) 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예를들어 실시간 인터넷 전화같은 경우 QoS가 만족되어야하므로 우선순위가 더 높을 것입니다. - ECN
목적지 노드에게 현재 네트워크의 혼잡도를 알리는 값입니다. - Flow Label
IP프로토콜을 연결 지향형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능입니다.
Src 부터 Dst 까지 패킷의 흐름을 나타냅니다. - Payload Length
Payload (데이터) 의 길이입니다. - Next Header
IPv4 의 Protocol 과 비슷합니다.
IP 계층보다 더 상위 계층의 type 를 알려주는 값입니다.
예로 ICMP(1), IGMP(2), TCP(6), UDP(17) 입니다. - Hop Limit
IPv4 의 TTL 과 비슷합니다.
네트워크 특성상 여러 AP 들을 거쳐서 패킷이 전달됩니다. 이렇게 AP를 하나 거칠때 마다 이 값이 1씩 떨어지고 0에 도달하게되면 패킷이 버려지게됩니다. 이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패킷이 전달되지 못하고 빙글빙글 돌거나 통신이 끊겼다면 네트워크내에 패킷이 계속 남게되는데 이런 현상을 막기위해 존재합니다. - Source IP Address
출발지의 IP 주소값 입니다. - Destination IP Address
도착지의 IP 주소값 입니다.
특징
IPv6 는 초창기 네트워크와는 다르게 멀티미디어를 많이 소비하는 현대 네트워크에 맞게 설게된 프로토콜입니다.
IPv4의 단점들을 보완하고, 연결지향적으로 바꾼게 바로 IPv6 입니다.
그래서 빠른 패킷처리를 위해 상당히 간단해졌습니다.
728x90
반응형
'컴퓨터공학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TCP 패킷 구조와 특징 (0) | 2021.12.01 |
---|---|
[네트워크] IPv4 패킷 구조와 특징 (0) | 2021.11.11 |
[네트워크] TCP/IP Protocol 프로토콜 (0) | 2021.11.10 |
[네트워크] OSI 7 layer (0) | 2021.11.09 |
[네트워크] Layered protocol Architecture 란 무엇인가? (0) | 2021.11.08 |